화살표 함수의 가장 큰 특징은 두 가지로 볼 수 있다 짧은 코드 this 를 바인딩하지 않음 위 두 가지에 대해서는 나중에 따로 정리해보기로 하고, 일단은 오늘 삽질한 부분은 괄호의 사용 때문이었다. 작은 문법적 오류 때문에 삽질하지 않으려면 기본문법을 정확히 숙지하는 게 좋겠다. const f = () => { return ... }위와 같이 statements를 중괄호 안에 쓰면 반드시 "return"되어야 한다. 하지만 간단하게 expression을 쓸 때는 const f = () => ... or const f = () => ()괄호를 아예 생략하거나 소괄호로 쓰는데 이떄는 return을 사용하지 않는다. 이상.

git 원격저장소에서 repository 이름을 변경한 후에 로컬 저장소에서도 레포 이름을 변경해 주어야 push와 pull이 원활하게 작동한다 이 경우 쓸 수 있는 깃 명령어 # 현재 로컬 레포에 저장된 원격 저장소 주소 확인 $ git remote -v # 로컬 레포에 연결된 원격 저장소 주소 변경 $ git remote set-url origin https://github.com/user/[변경된 깃 저장소] 이렇게 하고 다시 원격 저장소 주소 확인 했는데 출력된 내용에 변화가 없는 경우가 있다. VSCODE 를 확인해보니, remote 에 이전 원격 주소가 연결되어 있다. 오른쪽 클릭하고 삭제하니 정상적으로 변경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.
- Total
- Today
- Yesterday
- Repository
- 리액트
- 화살표함수괄호
- react youtube api
- autocommit=0
- 하나의행
- vscode
- mariadb
- 화살표함수
- 깃레포
- Join
- 원격주소변경
- youtube api
- sameSte
- mysql rollback
- React
- mysql commit
- autocommit
- memo 동작안함
- memo props
- 깃레포변경
- 안드로이드 웹뷰 크롬
- react.memo
- 웹뷰 디버깅
- GIT
- 하이브리드앱 디버깅
- 컴포넌트
- props
- 리액트youtube
- useMemo
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||||
4 | 5 | 6 | 7 | 8 | 9 | 10 |
11 | 12 | 13 | 14 | 15 | 16 | 17 |
18 | 19 | 20 | 21 | 22 | 23 | 24 |
25 | 26 | 27 | 28 | 29 | 30 | 31 |